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110

하락의 늪을 만드는 반대매매 지난 10월 이후 한 달 여 동안 죽 상승해오던 우리나라 증시는 11월 17일 이후에는 하락을 보여주고 있다. 각종 매체에서 이번 하락에 대해 논란이 있다. 이번 하락이 경기침체와 맞물려 더욱 떨어질 거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기술적 하락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다만 불안한 것은 지난 상승장 후반기에 바닥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며, 많은 매체에서 언급을 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급하게 뒤쫓아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쫓아가기 위해 가장 흔히 쓰는 방법들이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 하락이 어떻게 진행될 지에 따라 약간은 우려가 된다. 지난 하락장에서 워낙 반대매매가 많이 발생해서 하락의 폭을 크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혹시 있을지 모르는 반대 매매로 인한 추가 하락장에 대비하고, .. 2022. 11. 28.
개미들 속 뒤집는 무자본 M&A와 메자닌 투자 여느 날과 다름없이 투자 공부를 위해 유튜브를 보고 있었다. 에서 하는 live 방송을 봤는데, 리튬 회사의 무자본 M&A에 관한 내용을 봤다. 솔직히 방송 내용이 머리에 정리되지 않았다. 뭔가 언론에 나온 내용을 확인해보라는 이야기가 많고, 중요한 내용을 아껴서 설명하니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직접 찾아보기로 했는데, 여러 언론사 자료가 있으나, 가장 최근에 한국경제신문에서 '기획'으로 작성한 내용이 있어 그 내용을 중심으로 읽어보았다. 내용을 보고 있으려니, 계속 끌어 오르는 화를 참기가 힘들었다. 내가 몇 시간씩 시장을 보고 종목을 분석하는 이런 행동들이 부질없어 보일 정도였다. 물론 기사를 계속 읽어보니 이 기사의 목적이 정치적인 부분이 상당히 개입되어 있다는 것이 느껴졌지만, 정치적인 여지가.. 2022. 11. 27.
위믹스의 악재는 재벌집 막내가 막은 것일까? 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37.86 / -0.14%), KOSDAQ (733.56 / -0.63%) 미국 증시는 추수감사절로 쉬었다. FOMC의 의사록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경기침체'의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했다는 점은 내년도 경제상황의 어려움을 미국 연준에서 확인해주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은 총재가 내년 고물가 고통이 지속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위메이드의 가상화폐 위믹스가 상장폐지로 결정되면서, 위메이드 그룹 3개 종목이 하한가를 맞았다. 게임 섹터 가상화폐 대장격인 위믹스의 상장폐지로 게임주의 타격도 컸다. 코스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 섹터의 하락은 코스닥의 하락을 부추겼다. 하지만 미디어·엔터의 약진으로 우려와는 달.. 2022. 11. 25.
계속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기대감 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41.33 / +0.96%), KOSDAQ (738.22 / +1.74%) 미국 증시는 FOMC의 의사록의 '속도조절' 확인 및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조절 언급으로 인해 상승 마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의 코로나 문제와 미국의 경기침체 문제는 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위기설도 금융위기를 크게 고조시키는 만큼 아직도 위험요소가 곳곳에 있다고 봐야 하며, 보수적인 관점에서의 투자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오늘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려 베이비스텝(0.25%)을 단행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3.25%가 됐다. 오늘 예정대로 화물연대의 파업이 시작되어,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2. 상한가 등 특징(급등) 종목 가. 상한가 래몽래인,.. 2022. 11. 24.
미디어·게임 섹터가 주도한 시장 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18.01 / +0.53%), KOSDAQ (725.59 / +1.87%)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을 하였는데,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강해주었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겠다. 어제까지 강하게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지속하겠다던 연준 위원들이 금리 인상에 대한 조절 이야기를 하면서,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무래도 금리는 크게 올리지는 않을 것 같고, 경기 침체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금융시장의 활황세를 누르고 싶은 입장인 것 같다. 중국은 코로나에 관한 정책을 재봉쇄 쪽으로 가닥을 잡는 모양이 불안하다. 우리 시장은 대통령실에서의 언급과 빈살만이 이끄는 펀드가 카카오를 투자한다는 소식의 호재가 터지면서 엔터 및 미디어 섹터로의 강한.. 2022.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