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72.53 / +1.61%), KOSDAQ (729.54 / +2.00%)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연설을 앞두고, 투자를 주저함에 따라 하락 마감했다. 애플의 중국 공장 소식과 아마존의 채권 판매 소식 등 빅 테크 상위 종목들이 하락을 부추겼다. 중국의 코로나 정책 변화로 에너지나 원자재 관련주들이 상승했다.
우리 시장은 미국 시장 결과에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었다. 오전장은 한파, 전기차 충전, 포스코, 애플카 관련 테마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오후에는 리밸린싱 예상되는 종목들에 따른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면서, 변화가 많았다.
일단 우리 시장도 오늘 새벽에 있을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듣고 투자방향을 조정할 것 같다. 발언의 방향은 매파적으로 갈 것이라고 다들 예상하고는 있으나, 방향과 강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켜보는 분위기가 강해 보인다.
2. 상한가 등 특징(급등) 종목
가. 상한가
대성하이텍, 에스에이티이엔지, 포스코스틸리온
1). 대성하이텍 : 전기차 주행거리 상승 신기술 3세대 MSO 코일 방식을 통해 현대차 등 부품 개발 중 소식
2). 에스에이티이엔지 : 자회사 에코케미칼, 내년부터 2차 전지 소재 양산 기대감 부각
3). 포스코스틸리온 : 포스코 민주노총 탈퇴 추진 소식 등
※ 관련 보도 내용
- 대성하이텍, 전기차 주행거리 30% 상승 신기술 3세대 MSO코일 현대차 부품 개발 중 (서울경제 22.11.30.)
- 에스에이티이엔지, 독일·일본 독점 2차 전지 소재 국산화…'긁지 않은 복권' (아시아경제 22.11.30.)
- 포스코 노조, "민주노총 탈퇴하겠다"…재투표 결과 '주목' (뉴시스 22.11.30.)
☞ 관련주 : POSCO홀딩스, 포스코스틸, 포스코ICT, 포스코엠텍, 포스코케미칼, 포스코건설 등
나. 급등주(15% 이상)
삼영에스앤씨, 영진약품, BGF, 경동도시가스, 유라테크
1). 삼영에스앤씨 : 전기차 배터리팩 관련 언론보도
- 관련주 : 성우하이텍, 이랜텍, 세방전지, 세종공업, 서연이화, 덕양산업, 모트렉스, 상신이디피, 신흥에스이씨 등
2). 영진약품 : 기술이전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 신약 후보물질, 글로벌 2/3상 진입 소식
3). BGF : 2세 경영 본격화 기대감 등
4). 경동도시가스 : 11월 이례적 한파 등에 도시가스/겨울 테마 상승
- 관련주 :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인천도시가스, 서울가스, SK가스 등
5). 유라테크 : 정부 전기차 무선충전 규제 개선에 따른 국내 무선충전 상용화 속도 기대감
- 관련주 : 아모센스, 동양이엔피, 포스코ICT 등
※ 관련 보도 내용
- “전기차 배터리팩은 ‘제2의 반도체’…200조 글로벌 시장 노린다” (헤럴드경제 22.11.30.)
- 영진약품, 미토콘드리아 치료제 3상 진입.. 수백억 마일스톤에 '한발' (이데일리 22.11.30.)
- 홍석조 BGF 회장, 두 아들에 지분 넘겨… ‘2세 경영’ 본격화 (조선비즈 22.11.30.)
- 서울 등 대부분 지역에 한파경보 발령… 내일부터 진짜 춥다 (연합뉴스 22.11.29.)
- “전기차 인프라 시장 잡아라”… 무선-이동충전 앞다퉈 선보여 (동아일보 22.11.29.)
다. 거래량 1,000만 주 이상, 거래대금 500억 이상
이엔플러스, JW신약, 포스코ICT, 제주은행
1). 이엔플러스 : 국내 글로벌 배터리 대기업 벤더 등록 소식에 강세
2). JW신약 : 특별히 거래가 증가한 사유를 알 수 없음
3). 포스코ICT : 정부 전기차 무선충전 규제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무선충전 기술,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4). 제주은행 : 연말 배당 기대감 지속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속 급등
※ 관련 보도 내용
- 이엔플러스 주가 13%↑…국내 글로벌 배터리 대기업 벤더 등록 소식에 강세 (아주경제 22.11.30.)
3. 기관, 외국인 매수·매도 상위 15개 기업
코스피에서는 애플 카의 전장사업 분위기를 다시 타고 있는 LG전자 이외에는 별다른 특이점이 없다.
코스닥에서는 파라다이스가 강한 매수세를 이어갔고, 리튬, 경영권 승계 등 이슈가 있는 종목들에 대한 매수세가 이어졌다. 포스코ICT는 금일 상승에 비해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큰 것으로 보아, 개인에게 물량을 넘기기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가. 외국인 KOSPI
1). 매수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LG화학 - 삼성SDI - 기아 - LG이노텍 - KT&G - 삼성전기 - LG전자 - SK하이닉스 - NAVER - SK이노베이션 - 신한지주 - 현대중공업 - HMM
2). 매도 : 두산밥캣 - POSCO홀딩스 - 아모레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SK케미칼 - GS건설 - 코스모신소재 - 아모레퍼시픽 - 메리츠금융지주 - 카카오페이 - 신풍제약 - 녹십자 - 한국항공우주 - 남선알미늄 - CJ대한통운
나. 기관 KOSPI
1). 매수 : LG전자 - 현대로템 - 우리금융지주 - POSCO홀딩스 - 메리츠금융지주 - 아모레퍼시픽 - 하나금융지주 - 아모레 - KB금융 - 한국전력 - 덴티움 - GS건설 - 메리츠화재 - 현대미포조선 - F&F
2). 매도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포스코케미칼 - 삼성SDI - 한화솔루션 - NAVER - 현대차 - SK하이닉스 - LG화학 - SK이노베이션 - 삼성전기 - 카카오뱅크 - LG이노텍 - 카카오 - 크래프톤
다. 외국인 KOSDAQ
1). 매수 : 엘앤에프 - 에코프로비엠 - 다우데이타 - HLB - 에스티큐브 - 포스코엠텍 - 파라다이스 - 셀트리온헬스케어 - 웰크론한텍 - 더블유씨피 - 비나텍 - 비에이치 - 카카오게임즈 - 파마리서치 - 네오위즈
2). 매도 : 씨젠 - CJ ENM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포스코ICT - 알테오젠 - 성우하이텍 - 컴투스 - 미래나노텍 - 엔케이맥스 - 하이드로리튬 - 선익시스템 - 강원에너지 - 안랩 - 한글과컴퓨터 - 자이언트스텝
라. 기관 KOSDAQ
1). 매수 : 에코프로 - 에코프로비엠 - 파라다이스 - 에이비엘바이오 - 위메이드 - 에스엠 - 다우데이타 - 나무가 - 뉴프렉스 - 원익QnC - HPSP - 삼목에스폼 - 청담글로벌 - 포스코엠텍 - 아모그린텍
2). 매도 : 영풍정밀 - 대성하이텍 - 스튜디오드래곤 - 포스코ICT - 덕산네오룩스 - 셀트리온헬스케어 - 알테오젠 - 에스에이티이엔지 - 아프리카TV - JYP Ent. - 비에이치 - 씨젠 - 보루노이 - 로보티즈 - 위지윅스튜디오
4. 시간 외 특징주
동부건설, 오픈베이스, 세아메카닉스, 디엔에이링크, 뷰노, 경동도시가스, 디티앤씨알오, 금호건설
1). 3분기 수주 잔고 약 7조 9,000억 원 기록 소식 부각 : 동부건설(+9.90%)
2).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청 스마트시티 총괄 한국 방문 관련주 부각: 오픈베이스(+9.06%)
3). 엘지마그나와 141.55억 원 규모 공급계약(전기자동차 ICCU 부품) 체결 : 세아메카닉스 (+5.57%)
4). 신규사업 진출 목적으로 국민비투멘(주) 주식 83,200주를 95.68억 원에 신규로 양수 : 디엔에이링크(+4.97%)
5). 머큐리 Secondary 투자조합 등 대상 우선주 1,690,042주(99.99억 원) 규모 제삼자배정 유상증자 : 뷰노(+4.85%)
6). 11월 이례적 한파 등에 도시가스/겨울 테마 상승 : 경동도시가스(+4.10%)
7). 신규 PK·PD센터용 부지 매입 완료 : 디티앤씨알오(3.65%)
8). 1,300조 원 규모 킹 살만 국제공항 건설 추진 소식 속 중동 공항 건설 이력 부각 : 금호건설(+2.46%)
※ 관련 보도 내용
- 동부건설, 수주 잔고 8조 원 육박…"7년 치 일감 확보" (연합뉴스 22.11.30.)
- '리야드, 10대 경제도시로'… 사우디 데이터 AI청 총괄 "한국 배우러 왔죠" (이데일리 22.11.30.)
- 세아메카닉스, 엘지마그나와 141.5억 원 규모 전기차 부품 공급계약 (이데일리 22.11.30.)
- 뷰노, 100억 원 규모 제삼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이데일리 22.11.30.)
5. 증시일정
1). MSCI지수 리밸런싱, 테슬라 세미 전기트럭 공식 출고, 전력거래가 상한제 실시, 3분기 국민소득
2). 한-EU, 美 IRA 등 주요 통상현안 논의, 동원F&B, 동원참치 가격 평균 7% 인상, 여야 정책협의체 회의
3). 최대주주 지분 매각 추진 관련 (씨아이에스), SK쉴더스 신규투자유치 추진 및 지분 매각 관련(SK스퀘어) 재공시
4). 보호예수 해제 : 벨로프
5). 신규상장 : 유진스팩9호, NH스팩26호
6). 추가 상장(유상증자) : 리더스 기술투자
7). 추가 상장(CB전환) : 레인보우로보틱스
8). 미국 : 10월 건설지출
9). 미국 :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
10). 유로 : 11월 제조업 PMI 확정치, 자동차 판매 발표, ECB/유럽시스템리스크위원회(ESRB) 일반위원회 회의
11). 독일 : 10월 소매판매, 11월 제조업 PMI 확정치
12). 중국 : 11월 차이신 제조업 PMI
13). 영국 : 11월 CIPS /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14). 일본 : 11월 제조업 PMI 확정치, 11월 소비자 신뢰지수, 일본은행 총재 및 일본은행 정책 이사 연설
6. 주요 언론보도
- 바이든, SK실트론 美공장 방문…"中 공급망 인질 되지 않겠다" (연합뉴스 22.11.30.)
- 뉴욕증시, 파월 연설 경계에 대체로 하락… 나스닥 0.6%↓마감 (연합뉴스 22.11.30.)
- 독일, 카타르와 '최소 15년' 장기 LNG 공급 계약 체결 (아시아경제 22.11.30.)
- 애플 페이, 금감원 심사 막바지…'페이 대전' 열린다 (이데일리 22.11.30.)
☞ 관련주 : 한국 정보통신, 이루온, 에이텍티엔, 유비벨록스, 아톤 등
- 美백악관 “마크롱 국빈 방문 시 IRA 논의할 것” (헤럴드경제 22.11.29.)
- 중국 방역대책 결국 완화?… 개미들, 리오프닝 관련주에 베팅 (뉴시스 22.11.30.)
☞ 관련주 :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한국화장품, 한국화장품제조, 잇츠한불, 코리아나, 토니모리, 본느 등
- [단독] 마음 급한 폴란드, KAI에 선수금 1조 2천억 입금 (KBS 22.11.29.) ☞ 관련주 :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제노코, 현대로템, LIG넥스원, SNT중공업, STX엔진 등
- 식약처, 대마 성분 의약품 제조·수입 허용 위해 규제개선 착수 (연합뉴스 22.11.30.)
☞ 관련주 : 우리바이오, 오성첨단소재, 화일약품 등
- 사우디 장관이 네이버에 왜…700조 ‘네옴시티’ 협력 주목 (매일경제 22.11.30.)
☞ 관련주 : 현대무벡스, 핀텔, 바이브컴퍼니, 이노뎁 등
- [단독] 남북, 尹정부 들어 첫 물밑 접촉… 동남아에서 비공개 만남 (뉴스핌 22.11.30.)
- 맥스트, 메타버스 개발 플랫폼 '맥스버스' 시범 공개 (ZDNET KOREA 22.11.29.)
- 빈살만 주목한 포스코그룹 ‘친환경 철강 솔루션’, 네옴시티 간다 (VIEWERS 22.11.30.)
- LG의 전장 광폭행보… 고개 든 '애플 카' 협업 기대감 (아시아경제 22.11.29.)
☞ 관련주 : LG전자, LG이노텍, 현우산업, 대성파인텍, 하이비젼시스템, 덕우전자, 아진산업, 라닉스 등
- [단독] 포스코, 호주 로이힐 광산서 두둑한 배당금 또 받았다 (THE GURU 22.11.30.)
- 메타버스 등 대용량 서비스 대비…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설비 기준 강화 (뉴스 1 22.11.29)
-- 신축건물 광케이블 구축 의무화… 정부 "미래 융합서비스 보급 촉진" (EBN 산업경제 22.11.29.)
☞ 관련주 : 대한광통신, 가온전선, LS전선아시아, 라이트론, 오이솔루션, 선익시스템, 덱스터, 자이언트스텝, 맥스트, 엔피, 이노뎁, 코세스 등
- 반도체 포토마스크 부족 심화... 신제품 개발 난항 (ZDNET KOREA 22.11.29.)
☞ 관련주 :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동진쎄미켐 등
- ‘누리호’ 이을 차세대 발사체 2조 예산 예타 통과… 목표는 ‘달 착륙’ (조선비즈 22.11.30.)
6. 종목 리포트 요약
1). 유한양행 (57,400 → 목표가 : 78,000~85,000원) / 한화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 폐암 신약 <렉라자>의 1차 치료제 적응증 확대 기대. 본업도 좋아지고, 레이저티닙 데이터까지 기대되고 있음
2). LG이노텍(299,000 → 목표가 : 400,000~570,000원) / 유진투자증권, KB증권
- 3분기 컨센서스 상회. 중국 공장 문제로 아이폰 생산물량 차질로 4분기 하락 예상.
- 애플 PER 24, 아이폰 서플라이체인 PER 9~20 수준. LG이노텍은 PER 6D으로 지나치게 저평가 상태
3). SKC (109,500 → 목표가 : 148,000원) / IBK투자증권, 신영증권
- 올해 말, 2조 원 이상의 현금 보유 전망
- 2차 전지 소재(실리콘 음극재, 동박), 반도체 소재(글라스 기판, CMP 패드, 블랭크 마스크), 친환경 소재
4). F&F (149,000 → 190,000~230,000원) / 삼성증권, 유진투자증권
- 중국의 리오프닝이 되면 동사의 점유율은 가속화. 중국 매장 개수 1,000개 추산. 인수 및 지분 투자 모멘텀
5). 에이비엘바이오 (23,200 → NR) / 이베스트투자증권
- BBB셔틀뿐만 아니라 항암제 파이프라인 가치 기대. 아밀로이드 베타 티깃만으로는 한계점 명확
'주식 투자 공부 >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호재 이후, 아쉬운 하락 (0) | 2022.12.02 |
---|---|
중국과 연준이 보여준 기대감... 종전까지~ (0) | 2022.12.01 |
만만치 않은 시장 - 따라가기 힘든 섹터 순환매 속도 (0) | 2022.11.29 |
중국발 리스크의 영향 (0) | 2022.11.29 |
위믹스의 악재는 재벌집 막내가 막은 것일까?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