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서 <2023년 유니콘 IPO 예상종목 및 투자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었는데요. 틈틈이 시간 날 때마다 유니콘 IPO 기업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해당 기업의 IPO 전에 미리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종목들에 대해서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그 첫 번째 기업으로 오늘은 [케이뱅크]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주이겠죠? 급하신 분들은 이것만이라도 먼저 보시라고 관련주 먼저 언급하고, 기업 개요와 관련주들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브리지텍, 인지소프트, 다날, 헥토이노베이션, KG이니시스, 한국정보통신, 컴투스, 한화생명, NH투자증권, 우리금융지주, KT
1. 케이뱅크 기업 개요
케이뱅크는 다들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1호 인터넷전문은행'입니다. 인터넷 전문은행으로써는 1호지만 상장은 2호인 카카오뱅크가 재작년에 먼저 했습니다. 카카오뱅크가 상장 시 시가총액 18조 원 전망을 받았지만, 케이뱅크는 대체로 3~4조 원 정도가 언급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카카오뱅크는 상장 당시 엄청난 인기를 구가했습니다만, 올해 증시 상황과 맞물려 케이뱅크가 3~4조원의 가치를 제대로 받고 상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아무래도 인지도 면에서 카카오뱅크와 비교하기는 어렵고, 카카오뱅크 상장 이후에 정착된 코로나 사회의 삶은 전통적인 은행의 업무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업무로 급격하게 변화시켰기 때문에 인터넷은행과 전통적 은행의 구분이 모호해졌으며, 인터넷은행도 토스뱅크의 등장으로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입니다.
시장 점유율
다들 예상하셨겠지만, 시중 은행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전문은행들 중에서도 점유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
작년 분기 대비 큰 이익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인상 등 모든 은행의 공통 사항이니, 주목할 만한 사항은 아닙니다.
2. 케이뱅크 상장 및 관련 종목
가. 투자 시 유의점
케이뱅크의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 JP모건, 씨티그룹입니다. 문제는 케이뱅크가 증권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한은 3월 20일입니다. 이 때까지 상장을 하지 못하면 예비심사 승인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다만 케이뱅크는 FI에 매도청구권을 보장한 상태라 미루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투자를 하셔도 되겠으나 3월 20일 이후에 투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 시장에서 돈이 더 묶이면 우울하니까요.
나. 관련종목
브리지텍(시총 : 480억, 케이뱅크 지분 비중 : 0.8%, 약 280억 가치)
- 케이뱅크 3.5조 정도 가치를 기준으로 약 280억 지분 가치. 자기 시총의 58%에 해당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콜센터 솔루션, IP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클라우드 콜센터, 유지보수 등
- 주요 고객에 KT가 있습니다. 아래 재무상황 확인하시죠.
인지소프트 (시총 : 584억, 케이뱅크 지분 비중 : 0.43%, 약 150억 가치)
- 구)모바일리더이며, 케이뱅크 3.5조 정도 가치를 기준으로 약 150억 지분 가치. 자기 시총의 25.6%에 해당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광학문자 인식 기술 및 전자서식 기술 바탕으로 SW솔루션 및 IT서비스 제공
- 재무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날(시총 : 3,447억, 케이뱅크 지분 : 0.64%, 약 224억 가치)
- 케이뱅크 3.5조 정도 가치를 기준으로 약 224억 지분 가치. 자기 시총의 6.5%에 해당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휴대폰,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페이코인 결제시스템 운영 등
- 재무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헥토이노베이션(시총 : 1,597억, 케이뱅크 지분 : 0.67%, 약 234억 가치)
- 케이뱅크 3.5조 정도 가치를 기준으로 약 234억 지분 가치. 자기 시총의 14.6%에 해당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이동통신사 월정액(휴대폰번호 도용방지 등), 건강지킴이, 슈퍼스탁 등
- 재무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KG이니시스(시총 : 3,265억, 케이뱅크 지분 : 1.22%, 약 427억 가치)
- 케이뱅크 3.5조 정도 가치를 기준으로 약 427억 지분 가치. 자기 시총의 13%에 해당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전자지불결재대행, 교육(온라인강좌, 교재 사업 등), 프랜차이즈, 부동산임대업 등
- 재무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기업들 이외에도 아래와 같이 케이뱅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기업들은 시총도 작고, 보유 지분이 시총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서 작성한 것입니다.
- 한국정보통신(시총 : 4,269억, 케이뱅크지분 : 0.94%, 약 329억 가치)
- 컴투스(시총 : 7,668억, 케이뱅크지분 : 2.05%, 약 717억 가치)
- 한화생명(시총 : 2조 4,058억, 케이뱅크지분 : 3.82%, 약 1,337억 가치)
- NH투자증권(시총 : 2조 9,807억, 케이뱅크지분 : 5.52%, 약 1,932억 가치)
- 우리금융지주(8조 4,091억, 케이뱅크지분 : 12.58%, 약 4,403억 가치)
- KT-비씨카드(시총 : 8조 8,256억, 케이뱅크지분 : 33.72%, 약 1조 1,802억 가치)
저는 개인적으로 <브리지텍>과 <KG이니시스>가 끌리네요.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투자 시기와 투자 목적을 좀 더 분석하고 고려하셔서 투자를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2023년 유니콘 IPO 예상 종목 및 투자 방법
1. 유니콘 IPO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제가 앞에서 소개한 바 있는 [나의 투자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유목민 저]에는 '연말이 되면 유니콘을 만나라'라는 소제목으로 내년에 상장 또는 상장 예정인
baju-store.com
'주식 투자 공부 > 종목 및 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트루윈 (105550) (0) | 2023.02.20 |
---|---|
[종목분석] 티쓰리 (0) | 2022.12.29 |
[종목분석] 팅크웨어(22.12.12.) (0) | 2022.12.12 |
[종목분석] 위니아에이드 (0) | 2022.12.07 |
고르디우스의 매듭 요약 (건설) (0)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