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시황 분석

주간 증시 분석(23년 5월 4째주)

by 가온나 2023. 5. 28.
반응형

 

주간 증시 분석 0

 

1. 이번 주 수급 동향 분석

  가. 투자자 기간별 매매현황

 

주간 증시 분석 1
투자자 매매현황(23.5.22~23.5.26.)

 

  이번 주는 개인들이 전반적으로 투자액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은 여전히 코스피에 강한 매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관과 금융투자 및 연기금은 매도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 시장은 미국의 부채한도 협의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해 다소 하락했던 한 주였습니다. 다만 엔베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으로 인한 반도체 관련주, 러-우 흑해 곡물협정 불발로 인한 곡물·사료 관련주의 상승이 눈에 띄인 한 주였습니다. 

 

  나. 외국인, 기관 수급현황

 

주간 증시 분석 2
외국인 및 기관 수급 현황(23.5.22~23.5.26.)

 

  코스피에서는 플랫폼과 금융주의 매도세가 강했고, 반도체 및 선박, 바이오 등이 매수세가 우세했습니다. 반면 코스닥에서는 특별한 매수, 매도 우위 섹터들을 찾기 어려우며, 굳이 찾는다면 반도체 섹터가 매수세가 강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개별 종목 수급에서도 엔비디아의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의 영향은 대단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데이타센터 및 AI 분야에서 크게 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우리 시장에서는 이 두개 분야에서 직접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 반도체 관련주를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데이타센터 쪽은 서버용 PC와 연관성이 많아서 DDR5 관련주들이 주목받았다. 'ISC', '아비코전자', '티엘비'의 주가가 많이 상승했다. 그 밖에 일반 장비 관련해서 '하나마이크론', 'HPSP' 등이 이미 주가가 많이 올라왔다. 아직 올라오지 않았지만, 위에서 언급된 종목들 이상으로 반도체 성과가 좋은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 주에도 언급했듯이 '하나머티리얼즈', '유니셈', 'GST', '피에스케이', '유진테크', '동진쎄미켐', '제이티' 등도 위 종목들과 비슷한 수준의 상승을 보여줄 수 있는 종목들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다음 주 주요 일정 및 관련 종목

  가. 차주 일정

23.5.29.(월) 23.5.30.(화) 23.5.31.(수) 23.6.1.(목)  23.6.2.(금)
- 2023년 국제컨퍼런스 참석(한국은행장)   - MSCI지수 리밸런싱  - 美, 부채한도 협의 데드라인 -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개최 (~6.6.)
- 아시아안보회의
- 한국, 미국, 영국 휴장 - 4월 관광통계,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 스가 전 일 총리, 카타르 에너지 장관 방한
- 4월 산업활동동향, 4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발표
-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시행, 코로나 위기 경보 하향 조정
- 수입맥주 가격 인상
- 4월 온라인 쇼핑 동향
- 1분기 국민소득
- 21년 국민계정(확정), 22년 국민계정(잠정)
- 5월 소비자 물가동향
  - (변경/재상장-회사분할) OCI
- (거래정지-회사분할)
 동국제강
- (추가상장-CB)
 수성셀바시온, 광무, 자화전자, HLB테라퓨틱스, 엔에스엔, 삼보모터스, 케이비아이동국실업, 베노홀딩스, 다산솔루에타, 나인테크
- (보호예수 해제)
 코드네이처
- 일본 새 싱글 발매(트와이스)
- (추가상장-유증)
 네이처셀, 아이톡시
- (추가상장-CB)
 아이톡시, 휴메딕스, 케어랩스, 대유에이피, 스맥, 엠에스오토텍, 유일에너테크
- (추가상장-BW)
 엔바이오니아, HLB생명과학
- (보호예수 해제)
 네오리진
- (신규상장)
 진영, 나라셀라
- (변경상장-주식병합)
 DGP
- (추가상장-유증)
 코렌텍
- 1.7조원 투자 포함 전구체 공장 추진 관련 재공시(포스코퓨처엠)
- (추가상장-무증)
 센코
  - (미) 3월 주택가격지수, 3월 S&P 코어로직/CS 주택가격지수, 5월 소비자신뢰지수, 5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 지수 발표 - (미) 4월 구인 및 이직 보고서, 5월 시카고 PMI,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 (미) 5월 ADP취업자 변동, 5월 ISM 제조업지수, 1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확정치, 4월 건설지출, 5월 제조업 PMI 확정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주간 원유재고 - (미) 5월 고용동향보고서,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미 실적) HP   - (미 실적) 메이시스  
  - (일) 4월 실업률 - (독) 5월 실업률, 5월 CPI 예비치
- (중) 5월 제조업 PMI, 5월 비제조업 PMI
- (일) 4월 소매판매, 4월 산업생산, 4월 건설수주, 4월 신규주택착공건수, 5월 소비자 신뢰지수
- (EU) 5월 제조업 PMI,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 4월 실업률
- (독) 4월 소매판매, 5월 제조업 PMI 확정치
- (영) 5월 CIPS/S&P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
- (중) 5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일) 1분기 자본지출, 5월 제조업 PMI확정치
 


  나. 다음 주 일정 등 예상 이슈

 

MSCI지수 리밸런싱

 

  MSCI지수 편입·편출 종목은 12일 이미 발표되었습니다. 당시 제가 포스팅한 내용이 있는데, 편입 종목이 될 가능성이 높았던 '에코프로'와 '금양'은 우려했던데로 급격한 주가 상승으로 편입 종목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관련 종목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5월 MSCI 편출입 예상 종목(좌) 및 발표 종목(우) 비교

 

  편입 이후에 각 종목의 수급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 부채한도 협의

 

  큰 우려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그동안 증시에 큰 영향을 주어왔습니다. 워낙에 양 당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서, 협상이 지지부진한 탓도 있었습니다. 

 

  협상은 바이든 대통령이 G7회의를 마치고, 귀국하면서 본격적으로 재개를 시작했고, 잠정 합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채한도가 협의된다고 해서 시장이 크게 상승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떻게든 협의가 될 거라고 예상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냥 시장의 우려 한 가지가 사라졌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바이든 "재앙적인 디폴트 막았다"…X-데이 9일 앞두고 원칙적 합의(종합2보)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미국 백악관과 의회가 국가 채무불이행(디폴트) 시한인 다음달 5일을 9일 앞두고 부채한도 상향 협상에 원칙적 합의를 이뤘다. 합의안은 큰 틀에서 연방정부 지출을

www.news1.kr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개최 (~6.6.)

 

주간 증시 분석 4
일정 및 참여기업 (ASCO 미리보기 : PART1 - IBK 투자증권, 이선경 리포트 참조)

 

  차트상으로는 대표 종목인 셀트리온과 HLB의 움직임이 나쁘지 않고, 레고캠바이오와 앱클론, 오스코텍의 움직임도 나쁘지 않습니다.

 

주간 증시 분석 6주간 증시 분석 6
셀트리온(좌), HLB(우) 일봉 차트

  

  셀트리온은 이번 ASCO에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 '허쥬마'의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를 제공하며, HLB는 재발성/전이성 선낭성암에 대한 리보라세닙의 임상2상 연구결과를 업데이트 합니다. 

 

  특히 유한양행과 오스코텍에서 공동 연구 진행 중인 '레이저티닙'이 '아미반타맙'과의 병용 투약 결과의 특이점 발표가 중요하고, 이외에도 레고캠바이오, 앱클론의 연구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3. 관심종목

 

  저는 예전부터 바이오 섹터 자체가 움직임이 좋아보여 몇 개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기대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와 함께 요즘 섹터가 좋아지고 있는 것은 누가 뭐래도 반도체 분야일 것이고, 그 다음 AI섹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이스트소프트'가 급등했고, 아이크래프트, 씨이랩 등 다른 몇 몇 관련 종목들도 툭툭 튀어오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AI섹터 종목들이 양호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추가로 보면 좋겠다 싶은 종목 2개 정도 공부해보겠습니다. 

 

  가. 콤텍시스템

  콤텍시스템은 현재 시총 1,046억입니다. 1분기 적자를 기록했으나, 작년 분기 실적으로 볼 때 3, 4분기에 회사의 매출이 좋은 구조를 보이고 있는 듯 합니다. 작년 연 영업이익 159억으로 멀티플 약 6.6배 정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ROE 증대가 눈에 띄입니다. 

 

  아이티센을 모회사로 하고 있으며, 지난 4월 엔비디아가 투자하고 있는 회사인 AI, 빅데이터 전문기업 '바스트데이터'의 한국 독점, 아시아 총판 계약을 하면서, 엔비디아 관련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주간 증시 분석 7주간 증시 분석 8
콤텍시스템 실적 추이(좌-네이버 증권 참조) / 콤텍시스템 차트 분석(우)


  나. GST

  GST는 현재 시총 2,516억입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장비인 스크러버(Scrubber)와 공정효율을 개선시키는 온도조절 장비 칠러(Chiller)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작년 영업이익 569억이며, 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멀티플 약 4.4배로 저평가 구간입니다.

 

  영업이익이 3년 째 우상향을 그리고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 및 마이크론 등에 장비 납품 중인데, 올해부터 대만 파운드리 업체향 초도물량 납품이 기대되고 있는 기업입니다. 즉 TSMC향으로 납품하는 국내 몇 안되는 기업이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GST 실적 추이(좌-네이버 증권 참조) / GST 차트 분석(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