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77.45 / -0.12%), KOSDAQ (734.1 / -0.25%)
미국 증시는 나스닥을 필두로 큰 상승을 보이다가, 장 후반에 러시아의 미사일이 폴란드에 떨어져 사망자가 발생한 일이 나오면서, 상승세를 다소 반납하고, 소폭 상승으로 마감했다.
우리 시장은 러시아발 우려로 장 시작 후 상승세를 반납하더니, 바이든의 발표(러시아가 쏜 미사일이 아닌 것 같다)가 나오면서 다시 상승곡선을 그렸지만 결국 소폭 하락하는데 그쳤다.
미국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에 관한 50조 예산 승인 요청을 의회에 하면서, 관련주의 상승을 기대하게 했으나, 의외로 큰 반응이 없었다. 유럽 국가들의 반응에 따라 내일 재건 주에 움직임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KOSPI200, KOSDAQ150 지수 편출입 종목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공매도 한시적 금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편입된 종목은 하락을 조심하고, 편출된 종목 중 공매도가 심했거나, 실적이 좋은 기업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KOSPI200 - 편입 : 롯데제과 / 편출 : 삼양홀딩스
2. KOSDAQ150
1) 편입 : 카나리아바이오, 인탑스, 에스티큐브, ISC, 신라젠, 이오플로우, 더네이쳐홀딩스, 성일하이텍, 디어유, 더블유씨피, HPSP
2). 편출 : 그래디언트, 카페24, 인트론바이오, 코나아이, CMG제약, 이베스트투자증권, 서울바이오시스, 알서포트, 데브시스터즈, AP시스템, 압타바이오
2. 상한가 등 특징(급등) 종목
가. 상한가
STX, 모아데이타, 부산주공, 핸즈코퍼레이션
1). STX : 태백시와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모멘텀 지속
2). 모아데이타 : 카카오 먹통 방지법 국회 법안소위 통과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
- 관련주 : 데이타솔루션, 콤텍시스템 등
3). 부산주공 : 수소차 테마 상승 속 3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 관련주 : 평화홀딩스, 동아화성, 디케이락 등
4). 핸즈코퍼레이션 : 1,697억 원 규모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 공급계약 체결
※ 관련 보도 내용
- '카카오 먹통 방지법', 野 단독으로 과방위 법안소위 통과 (연합뉴스 22.11.15.)
- 부산주공, 경영 효율화 성과 힘입어 흑자전환 (the bell 22.11.15.)
- '흑전' 부산주공, 수소차·농기계로 새 길 찾는다 (the bell 22.5.26.)
- 핸즈코퍼레이션, 1697억 규모 알루미늄 휠 공급계약 (뉴시스 22.11.16.)
나. 급등주(15% 이상)
플라즈맵, 잉크테크, 공구우먼, 피씨엘
1). 플라즈맵 : 호주 회사와 216.01억 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2). 잉크테크, 공구우먼 : 특별한 상승 이유 찾을 수 없음.
3). 피씨엘 : 모로코 등 아프리카 수출 기대감 속 스위스 OKII 장비 수출 계약 진행 소식
※ 관련 보도 내용
- 플라즈맵, 호주 티디에프메디칼과 약 200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 체결...'누적 3,300억 원 계약 달성' (PAX경제TV 22.11.16.)
- 피씨엘, 모로코 GIGALAB과 혈액 스크리닝 제품 라인업 수출 협력 가시화 (PAX경제TV 22.11.15.)
- 세계 유일 자연·백신 항체 동시 판별 30분… 피씨엘 OKII 스위스 진출 (PHARM EDAILY 22.11.16.)
다. 거래량 1,000만 주 이상, 거래대금 500억 이상
KH건설, 대주산업, 한일사료, 대한전선, 데이타솔루션, 지투파워
1). KH건설 :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
- 관련주 : 국보, 도화엔지니어링, 코오롱글로벌, 희림, 대양전기공업, 다스코, 스맥, 진성티이씨 등
2). 대주산업 : 폴란드 미사일 피격,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에 사료 테마 상승
- 관련주 : 애드바이오텍, 한일사료, 고려산업, 미래생명자원, 팜스코, 팜스토리 등
3). 대한전선 : 미국에서 2천400만 달러 규모 전력망 사업 수주
4). 지투파워 : 한국-영국 원전시장 상호협력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관련 보도 내용
- 폴란드에 러 추정 미사일 떨어져 2명 사망…美 "사태 파악 중" (연합뉴스 22.11.16.)
- 대한전선, 미국서 2천400만 달러 규모 전력망 사업 수주 (연합뉴스 22.11.16.)
- 한국-영국, 원전시장 상호협력·제3국 동반진출 모색 나선다 (이코노믹리뷰 22.11.16.)
3. 기관, 외국인 매수·매도 상위 10개 기업
KOSPI의 매수 방향을 알기 어려웠고, 매도는 셀트리온과 포스코케미칼이 강했으나, 셀트리온은 잠시 쉬어가는 것으로 보이지만, 포스코케미칼은 매도수량이 증가되고 있으니 주의해야 하겠다.
KOSDAQ에서는 삼성SDI 이슈로 상반된 수급을 보였던 에코프로비엠과 엘앤에프가 수급의 손바뀜을 했고, 매수에는 엔터테인먼트 관련주가 상대적으로 강했으며, 매도에서는 엔켐과 오스템임플란트, 셀트리온헬스케어가 강했다.
가. 외국인 KOSPI
1). 매수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롯데케미칼 - 삼성SDI - POSCO홀딩스 - LG전자 - 삼성물산 - 한화솔루션 - 카카오페이 - 두산에너빌리티
2). 매도 : 셀트리온 - NAVER - 포스코케미칼 - SK텔레콤 - 카카오 - 기아 - 이엔플러스 - 한미글로벌 - KT - SK아이이테크놀로지
나. 기관 KOSPI
1). 매수 : 씨에스윈드 - S-Oil - SK하이닉스 - 하나금융지주 - KT&G - 한화솔루션 - 하이브 - F&F - SK텔레콤 - KT
2). 매도 : 롯데케미칼 - 포스코케미칼 - POSCO홀딩스 - LG에너지솔루션 - LG이노텍 - 카카오뱅크 - 삼성전기 - 셀트리온 - 삼성바이오로직스 - 한국항공우주
다. 외국인 KOSDAQ
1). 매수 :엘앤에프 - JYP Ent. - 파라다이스 - 에스엠 - 펄어비스 - 지투파워 - 스튜디오드래곤 - 비에이치 - 제룡전기 - 솔브레인
2). 매도 : 에코프로비엠 - 미래나노텍 - 셀트리온헬스케어 - 엔켐 - 네이처셀 - 알테오젠 - 오스템임플란트 - 노터스 - 하이드로리튬 - 한국비엔씨
라. 기관 KOSDAQ
1). 매수 : 에스엠 - 알테오젠 - 레고켐바이오 - 스튜디오드래곤 - 성광벤드 - 하나머티리얼즈 - 삼강엠앤티 - 에이비엘바이오 - 엘앤에프 - NHN한국사이버결제
2). 매도 : 에코프로비엠 - 오스템임플란트 - 셀트리온헬스케어 - 알체라 - HLB - 더블유씨피 - 동화기업 - 에코프로 - 엔켐 - 아프리카TV
4. 시간 외 특징 주
에스와이, 지앰비코리아, 인터엠, 피씨디렉트
1). 삼성물산·포스코건설 컨소시엄, 사우디 네옴시티 40억 달러 규모 모듈러 주택사업 수주 전망
- 관련주 : 에스와이(+9.99%), 덕신하우징(+9.76%), 범양건영, 자연과환경 등
2). 정의선-빈 살만 수소 트램 등 네옴시티 수소 산업 협력 기대감
- 관련주 : 지엠비코리아(+9.98%), 화승알앤에이(+9.95%), 화승코퍼레이션(+9.71%), 디케이락, 현대로템 등
3).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방한 관련 드론 테마 상승
- 관련주 : 피씨디렉트(+6.28%), 기산텔레콤, 파이버프로, 베셀 등
4). 3분기 실적 호조 : 인터엠(+9.82%)
※ 관련 보도 내용
- 삼성물산·포스코 등 5개 기업, '네옴시티' 그린 수소·암모니아 공장 추진 (뉴스핌 22.11.16.)
-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 사우디 빈 살만과 ‘수소 트램’ 논의한다 (이투데이 22.11.16.)
5. 증시일정
1).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방한, 한·네덜란드 정상회담, 스페인 총리 방한
2). 대학 수학능력시험, 지스타(G-STAR) 2022
3). 국내 유업체, 우윳값 인상 예정,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월간 재정동향 발표
4). 신규상장 : 티에프이, 티쓰리엔터테인먼트
5). 추가 상장(주식전환) : 셀리버리
6). 추가 상장(유상증자) : 바른전자, 알파홀딩스
7). 추가 상장(CB 전환) : 이원컴포텍
8). 공모 청약 : 대신밸런스13호스팩,
9). 상호변경 : 비보존 헬스케어 → 비보존 제약
10). 미국 : 필립 제퍼슨, 미셀 보우만 연준 이사,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11). 미국 : 11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 지수, 10월 주택착공, 건축허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11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 지수 발표 / 어플라이드, 메이시스, 갭(GAP) 실적 발표
12). 유로존 : 9월 건설생산, 10월 소비자물가지수 확정치 발표
13). 영국 : 예산안 발표
6. 나의 투자 계획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을 확인했을 때, OTT 및 엔터테인먼트 섹터 중 가장 저평가되어있다고 생각하는 SBS를 추가 매수해도 될 것 같다. 또한 달 탐사를 위한 아르테미스 발사를 완료했기 때문에 우주항공 섹터의 흐름도 올 수 있을 것 같다. 한편 빈 살만 왕세자가 내일 방한하기 때문에 네옴시티 진짜 수혜주가 무엇인지 확실히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주식 투자 공부 >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코로나 재봉쇄 우려 (0) | 2022.11.22 |
---|---|
매파의 말과 우크라이나 (0) | 2022.11.19 |
우크라이나의 봄을 기대하며 (0) | 2022.11.16 |
드러나는 증시 바닥 신호 (0) | 2022.11.15 |
증시 반등과 여전한 우려 - CPI의 영향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