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80.33 / +0.23%), KOSDAQ (744.96 / +2.11%)
어제 미국 증시도 쉬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 시장을 조금 우려했지만, 시장 초반부터 코스닥을 중심으로 강한 상승을 보여주면서, 시장 바닥을 실감하고 있다.
오늘 우리 시장은 대부분의 종목이 고르게 상승한 가운데 반도체·IT, 우크라이나 재건, 바이오, 조선기자재 등의 섹터가 주도했다.
2. 상한가 등 특징(급등) 종목
가. 상한가
KH건설, STX, 서연, 일동제약, 일동홀딩스
1). KH건설 :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에 따른 상한가
- 관련주 : 진성티이씨, 대모, 스맥, 대창단조, 프리엠스, 서암기계공업, 에스와이, 현대에버다임, 수산중공업 등
2). STX : 태백시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소식에 상한가
3). 서연 : 특별한 이슈 없음. 서연그룹 동반 상승 ☞ 서연이화(+12.52%), 서연탑메탈(+3.41%)
4). 일동제약, 일동홀딩스 :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오는 22일 일본 긴급사용승인 회의 예정 소식
※ 관련 보도 내용
- KH건설, 레고랜드 채무 불이행 우려 끝?… 상한가 기록 (MoneyS 22.11.15.)
- STX·태백시, 첨단산업용 핵심원료 생산 프로젝트 추진 (연합뉴스 22.11.15.)
- 日 승인 여부 22일 결정… 일동·시오노기 코로나 치료제 '운명의 날' (머니투데이 22.11.14.)
나. 급등주(15% 이상)
피씨디렉트, 카나리아바이오, 와이오엠, 케일럼, 부산산업, 오스코텍, 네오위즈홀딩스, 하나마이크론
1). 피씨디렉트 :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AAM 생태계 구축 관련 MOU 체결에 드론 테마 상승 속 급등
2). 카나리아바이오 : GSK, PARP 억제제 적응증 축소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급등
3). 와이오엠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급등
4). 케일럼 : 외국인 매수에 실적 개선 기대 호재
5). 부산산업 : 원희룡 국토부 장관, 자카르타 중전철(MRT) 4단계 개발협력 MOU 체결 소식, 철도 섹터 상승
- 관련주 : 대아티아이, 대호에이엘, 에스트래픽, 다원시스, 현대로템
6). 네오위즈홀딩스 : 지스타 2022서 'P의 거짓' 발표
7). 실적 개선 기대 : 케일럼, 오스코텍, 하나마이크론
※ 관련 보도 내용
- 피씨디렉트, 현대차 인도네시아 드론 택시·무인항공기 AAM 시스템 구축에 강세 (MoneyS 22.11.15.)
- 카나리아바이오, “PARP 억제제 적응증 축소로 수혜” (파이낸셜뉴스 22.11.15.)
- 와이오엠,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상한가' (한경 코리아마켓 22.11.15.)
- 네오위즈홀딩스 상승, 지스타 2022서 'P의 거짓' 아트 발표 (국제뉴스 22.11.15.)
다. 거래량 1,000만 주 이상, 거래대금 500억 이상
크리스탈신소재, 기가레인, 대성창투, 이엔플러스, 대아티아이, 세종메디칼, 미래나노텍, 한국비엔씨, 대모
1). 크리스탈신소재 : 전도율 우수한 그래핀 분말 개발 성공 소식 지속
2). 기가레인 : 이재용·빈 살만 회동 추진 소식. 네옴시티 수혜 기대 및 삼성전자 북미 5G 단독 공급사 선정 이력
3). 대성창투 : 사우디 투자청, 시프트업 본사 방문 소식 속 시프트업 투자 이력 부각에 급등
4). 이엔플러스 : 美 민주당 상원 다수당 확정 및 삼성SDI, GM·볼보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설립 추진 소식
5). 세종메디칼 : 인플레이션 정점 기대로 인한 성장주 투자 심리 개선
6). 한국비엔씨 : 보톡스/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 달 만에 7만 명 재돌파 소식
7). 대모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3. 마치며
개인적인 약속이 있어 시간이 너무 늦어 특징주까지만 작성하고 끝내겠습니다. 이번 주는 개인적인 일정이 좀 많아서 매일 올리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주식 투자 공부 >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코로나 재봉쇄 우려 (0) | 2022.11.22 |
---|---|
매파의 말과 우크라이나 (0) | 2022.11.19 |
여전히 상존하는 전쟁 확산 우려 (0) | 2022.11.16 |
드러나는 증시 바닥 신호 (0) | 2022.11.15 |
증시 반등과 여전한 우려 - CPI의 영향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