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경제 및 투자 공부

[공유] 실리콘 음극재 경쟁

by 가온나 2023. 3. 17.
반응형

 

 

  제가 투자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인 '대주전자재료'에 관련하여, 좋은 기사와 거기에 대한 언급이 있는 내용이 있어  아래 내용을 공유해보았습니다. 

 

  '대주전자재료'는 현재까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해서 납품하고 있는 우리나라 유일한 기업입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일반 흑연만 사용한 음극재보다 출력이 훨씬 뛰어나 급속 충전이 가능하게 합니다. 즉 우리나라의 하이니켈 양극재가 에너지 밀도를 높여 저장용량을 극대화 한 것이라면, 실리콘 음극재는 이를 빨리 채워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현재보다 40배 이상 커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재 글로벌에서 상용화하고 있는 기업은 대주전자재료와 더불어 중국의 BTR, 일본 신에츠화학(파나소닉향) 3개사 밖에 없습니다. 2030년 기준 실리콘 음극재 글로벌 수요가 200,000t으로 예상되는데, '대주전자재료'가 25년까지 목표케파가 20,000t입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CNT도전체와도 연결됩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급속 충전으로 인한 화재의 우려가 큰 실리콘 음극재를 겉에서 싸서 그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CNT도전체는 양극재에서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CNT도전체를 상용화했거나 개발 중인 우리나라 기업들은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는 '나노신소재', 'LG화학', '금호석유', '동진쎄미켐', '제이오' 등입니다. 이 중 음극재 CNT도전체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은 '나노신소재' 밖에 없습니다. '제이오'도 Thin wall CNT'를 만들 수 있는 글로벌 유일 기업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저도 공부 중입니다. 

 

  아래 내용을 보시면 SK머티리얼즈그룹포틴이 투자를 가장 크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가 동박에서 실리콘음극재까지 손을 뻗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포틴 음극재 시설 투자와 관련해서 '원준'이 장비를 납품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원준'의 주요 고객은 '포스코케미칼'입니다. 포스코케미칼도 곧 대폭의 투자계획이 있을 예정인만큼 '원준'이 받을 수혜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도 공부하다가 생각나는 내용을 정리해보는 것이라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찾아서 추가 공부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당연히 위에서 언급한 기업들은 추천이 아니고, 저의 개인 공부내용 기억을 위한 방편이라고 이해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정확한 기사내용을 관련 포스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실리콘 음극재 경쟁(feat. THEELEC, 투자상황, 엘피엔)

  2차 전지를 구성하는 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에 관한 괜찮은 기사가 있어,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공부내용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기사 내용은 THEELEC(23.1.4.) "꿈틀대는 '실리콘 음극재'경쟁"

spot.akrend902.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