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시황 분석92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9.) 1. 시황 분석 KOSPI (2,380.34 / +0.51%), KOSDAQ (712.89 / +0.16%) 어제 미국시장은 골드만삭스가 어닝쇼크를 발표하면서, 나스닥을 제외한 다우와 S&P500은 하락 마감했습니다. 아무래도 다우와 S&P500에 다수 속해있는 금융주의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테슬라는 중국 등에서 가격인하 판매 전략이 상당한 효과를 보이면서 7%대의 급등을 보였습니다. 우리 시장은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오전에 하락세를 보였지만 다행스럽게도 외국인들이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매수에 나섰고, 본격적인 중국 리오프닝으로 관련주들이 상승을 이끌면서 코스피, 코스닥 양 시장이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금일 저녁에 넷플릭스의 실적 발표가 기다리고 있고, 우리 시장도 실적 시즌인 만큼 기업 실적에 예.. 2023. 1. 20.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8.) 1. 시황 분석 KOSPI (2,368.32 / -0.47%), KOSDAQ (711.75 / +0.29%) 어제 미국시장은 골드만삭스가 어닝쇼크를 발표하면서, 나스닥을 제외한 다우와 S&P500은 하락 마감했습니다. 아무래도 다우와 S&P500에 다수 속해있는 금융주의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테슬라는 중국 등에서 가격인하 판매 전략이 상당한 효과를 보이면서 7%대의 급등을 보였습니다. 다행히 우리 시장은 코스피는 조금 밀렸고, 코스닥은 조금 올라 주었습니다. 장 초반에는 미국 시장의 결과에 따라 우리 시장도 설 연휴를 앞두고 있는 만큼 쉬어가는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이 아닌지 다소 우려했으나, 다행스럽게도 오후 들어서 상승해 주는 모습을 부여주며, 좋은 모습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 2023. 1. 18.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6.) 1. 시황 분석 KOSPI (2,399.86 / +0.58%), KOSDAQ (716.89 / +0.71%) 어제 미국시장은 마틴루터킹데이로 휴장을 했습니다. 우리 시장은 중국의 리오프닝 영향, UAE와의 대규모 투자협력 등으로 상승 분위기를 지속했습니다. 여전히 개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급 주체들이 매수세를 이끌고 있는 가운데, 코스닥에서의 매수는 여전히 코스피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모습을 지속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도 섹터도 수시로 변화하고 있고, 개인이 수량이 많은 코스닥이 여전히 큰 힘을 못 쓰고 있기 때문에, 개인들이 불안감을 더 느낄 수 있는 구간입니다. 공부하면서 이겨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4분기 실적 발표 (컨센 / 실적) - 에스티팜 (컨센 상회) : 매출액(754억 / 889억).. 2023. 1. 16.
주간 증시분석(23년 1월 2째주) 1. 이번 주 수급 동향 분석 가. 투자자 기간별 매매현황 지난주는 정말 시장별, 투자자별 매수 매도 수급이 완전히 반대되는 현상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개인은 지난주 순매도가 강했으며, 외국인, 기관 등 다른 수급 주체들은 순매수가 강했습니다. 또한 개인은 KOSPI에서 강력한 순매도, KOSDAQ에서는 순매수를 보였으며, 외국인, 기관 등 다른 수급 주체들은 KOSPI에서 강력한 순매수, KOSDAQ에서는 순매도의 흐름을 가져갔습니다. 안타까운 현상이지만, 개인과 다른 수급주체가 다를 때, 즉 저번 주와 같은 포지션(개인 매도, 다른 주체 매수)이면 지수는 전반적으로 올라가고, 반대 포지션이면 내려갑니다. 이것만 봤을 때는 다음 주 흐름도 기대해 볼만합니다. 나. 외국인, 기관 수급현황 지.. 2023. 1. 15.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3.) 1. 시황 분석 KOSPI (2,386.09 / +0.89%), KOSDAQ (711.82 / +0.14%) 어제 미국시장은 CPI가 컨센서스와 정확하게 맞아떨어지고, 국채 금리의 하락도 이어지면서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FED WATCH도 기준금리 25bp 인상을 강하게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모든 지표와 흐름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여전히 노동시장은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실적 시즌에 돌입하면서 기업의 실적이 크게 깨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주가의 방향이 꺾일 수도 있으니 마냥 기대만 할 수 없는 시점입니다. 우리 시장도 미국 CPI 발표 이후 미국 시장의 흐름과 동일한 흐름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힘을 잃으며, 보합권에서 마무리했습니.. 2023.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