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시황 분석92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2.) 1. 시황 분석 KOSPI (2,365.10 / +0.24%), KOSDAQ (710.82 / +0.15%) 어제 미국의 다우, 나스닥, S&P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파월의 다소 매파적인 연설과 오늘 CPI 발표가 여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연준의 경고와는 다른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유가의 상승과 VIX지수의 상승, 그리고 여전히 강한 노동시장은 강한 배팅을 망설이게 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우리 시장은 미국 시장과 같이 강한 상승세로 시작하였으나, 차차 떨어지면서 장중 한 때 마이너스로 돌아서기도 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대체적으로 CPI 결과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지만, CPI 결과 및 옵션 만기일에 따른 외국인의 움직임이 관전 포.. 2023. 1. 12.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10.) 1. 시황 분석 KOSPI (2,351.31 / +0.05%), KOSDAQ (696.05 / -0.74%) 어제 미국 증시는 연준 위원들의 금리 인상 발언과 함께, 투자자들이 곧 있을 CPI에서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가 강해지면서 상승 흐름은 마감했습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전월의 5.2%에서 추가 하락했고, 연준이 오는 2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전보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 시장도 미국 시장과 비슷한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코스피는 보합 수준에서 마감했고, 코스닥은 다소 하락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의 포지션이 애매한데, 옵션 만기일과 CPI가 이번 주에 있는 만큼 보수적으로 확인하면서 시장에 대응해야 할 때입니.. 2023. 1. 10.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9.) 1. 시황 분석 KOSPI (2,289.96 / +2.63%), KOSDAQ (688.94 / +1.78%) 어제 미국 주가는 다우, S&P500 및 나스닥 등 주요 시장 지수 모두 2%대 이상 상승을 보이는 큰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이유는 실업률은 견조하지만, 임금 상승이 둔화되었다는 데이터가 나오면서, 연준이 강세론을 이끌어 힘들 것이라고 예측한 때문으로 보입니다. 유럽의 날씨는 초여름을 방불케 하는 영상 20도 수준의 날씨를 보이고 있어,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하고 있습니다. 이에 천연가스를 원재료로 하는 비료의 가격도 떨어져 곡류의 가격 하락 및 생산량 증가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인플레이션을 한층 더 꺾어놓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식량 등의 가격 하락이 된다면, 가격 인상이 반영.. 2023. 1. 9.
주간 증시 분석 (23년 1월 1째주) 1. 이번 주 수급 동향 분석 가. 투자자 기간별 매매현황 지난주는 코스피에서는 금융투자와 기관의 배당차손거래를 외국인이 받아내는 전형적인 우리나라 새해 첫 주의 움직임을 보여주었고, 코스닥에서도 대주주 요건 매도 물량을 개인과 금융투자가 사들이는 양상을 보여주었습니다. 금융투자와 개인을 제외한 다른 수급 주체들은 지난주 후반부로 갈수록 매수세를 늘이는 모습을 보여주어 다음 주의 향방도 기대하게 합니다. 나. 외국인, 기관 수급현황 지난주 코스피의 수급현황은 은행 섹터에 명확하게 몰려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은행 섹터 이외에 그동안 하락폭이 크고, 바닥을 서서히 다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기', 'NAVER'에 대한 매수 움직임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2023. 1. 7.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1.6.) 1. 시황 분석 KOSPI (2,289.96 / +1.12%), KOSDAQ (688.94 / +1.33%) 어제 미국 주가는 하락마감 했습니다. 노동시장 강세가 확인되었고, 이에 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가 없고, 인상할 여지가 있다는 추측이 그 원인입니다. 가스가격은 하락하고, 유가는 상승했습니다. VIX지수도 소폭 상승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이제 가장 중요한 지표는 금리가 아니고 노동시장 문제로 확실히 넘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미국 시장의 하락을 뒤로하고, 우리 증시는 개장 때 반짝 하락을 보이더니, 곧바로 상승하기 시작하여, 코스피 코스닥 양 시장 1% 이상의 상승을 보여주며 마무리했습니다. 원인을 생각해보면 먼저 삼성전자의 실적 어닝쇼크로 삼성전자도 감산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반도체 섹터의 .. 2023.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