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공부/시황 분석92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2.9.) 1. 오늘의 주도 테마 및 섹터 분석 챗 GPT 신드롬 모멘텀 지속 - 관련주 : 웅진(상한가), 세중(20.36%), KEC(18.69%), 알에프세미(17.13%), 한국전자홀딩스(14.52%), 에이트원(14.42%), 앤씨앤(10.67%), 핸디소프트(9.67%) 등 * 애플 ‘시리’ 챗GPT 대항마로 키우나, 삼성전자 ‘빅스비’ 잠재력도 주목 (Business Post 23.2.9.) - 애플은 인공지능 서비스 시리의 기술 발전을 통해 활용성을 더욱 높이는 쪽으로 경쟁에 대응 - 빅스비는 사용자 음성 명령 및 스마트폰 등 기기의 화면을 동시에 인식, 정확도 높은 답변과 기능 수행 알리바바의 챗GPT 전쟁 대항마 제작 소식 - 관련주 : 딥노이드, 오픈베이스(상한가), 이니텍(22.07%), 아이.. 2023. 2. 9.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2.8.) 1. 오늘의 주도 테마 및 섹터 분석 AI 사업 및 기대감 지속 - 관련주 : 인포뱅크, 플래티어(상한가), 미디어젠(25.15%), 린드먼아시아(20.83%), 드림어스컴퍼니(16.71%), 데이터솔루션(16.79%), MDS테크(16.16%), 유엔젤(16.05%), 디모아(14.59%), 소프트센(13.55%), 미래에셋벤처투자(12.59%), 핸디소프트(10.45%), 엑셈(8.21%), 아남전자(6.30%), 지니뮤직(4.88%) 등 * 챗GPT에 놀란 애플, 3년 만에 첫 대면 행사로 ‘AI 서밋’ 개최 (조선비즈 23.2.8.) * 구글 '바드' 띄우자 MS는 검색엔진에 챗GPT 장착…AI 챗봇 대전 본격화 (노컷뉴스 23.2.8.) * SKT, 연내 챗GPT 접목 ‘에이닷’ 출시... 5G.. 2023. 2. 8.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2.7.) 1. 오늘의 주도 테마 및 섹터 분석 구글, '챗GPT 대항마' 바드 공식 발표 소식 - 관련주 : 유엔젤, MDS테크(상한가), 비트나인(26.37%), 비플라이소프트(13.82%), 모아데이타(9.13%) 등 * 구글, '챗GPT 대항마' 바드 공식 발표…"수주 안에 서비스" (연합뉴스 23.2.7.) - "새로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바드'(Bard)가 신뢰할만한 테스터들에게 개방될 것" - 바드'는 구글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공지능(AI) 언어 프로그램 '람다'(LaMDA)에 의해 구동 구글 바드 공식 발표 이후, MS의 중대발표 소식 - 관련주 : 이노뎁(17.74%), 브리지텍(10.19%), SGA(9.07%), 소프트캠프(7.29%), 코난테크놀로지(7.25%) 등 * 구글, 챗.. 2023. 2. 7.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2.6.) 1. 오늘의 주도 테마 및 섹터 분석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 임박 - 관련주 : 하인크코리아(상한가), KG모빌리언스(13.24%), 이루온(5.05%), 위니아에이드(4.04%) 등 * 애플페이 상륙…카드업계 점유율 경쟁 재점화 (SBS 23.2.3) - 국내 법령 여건상 배타적 사용권을 유지하지 못해 경쟁사들도 애플과 제휴를 맺을 수 있게 됐지만, 서비스 출시 초기 현대카드가 유일한 제휴사로서 시장 선점효과를 누릴 것. 삼성, 하이닉스 'AI 반도체' 개발 속도 - 관련주 : 엔피(27.86%), 나무가(8.44%), 자이언트스텝(7.07%), 선익시스템(5.10%), 뉴프렉스(4.09%) * 챗GPT 열풍에 삼성·하이닉스 ‘들썩’… 연산 가능한 ‘AI 반도체’ 개발 속도 (조선비즈 23.2.5.) -.. 2023. 2. 6.
주간 증시 분석(23년 2월 1째주) 토요일과 일요일 아이가 아팠는데, 제가 옮았는지, 몸이 안좋아서 포스팅 한 개 하는데, 너무 오래 걸렸습니다. 기다리신 분들과 죄송한 말씀을 드립니다. 1. 이번 주 수급 동향 분석 가. 투자자 기간별 매매현황 지난 주 삼성전자의 감산을 하지 않겠다는 소식이 있었던 화요일을 제외하고, 기관 및 금융투자 등은 매도 일변도를 이어갔으며, 외국인은 매수일변도를 이어갔습니다. 외국인은 코스피, 코스닥 양 시장에서 고른 매수를 보여주었고, 기관과 금융투자는 코스피는 매도하고 코스닥은 매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더불어 투신과 연기금도 코스피를 대량 매도하고, 코스닥은 소폭 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전반적으로 이번 주는 코스피가 코스닥보다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덜했습니다. FOMC의 발표에 따른 파티를 끝으로 각..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