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번 주 수급 동향 분석
가. 투자자 기간별 매매현황
지난 주 코스피는 2,452.46으로 시작해, 2,394.59로 마감하면서, -1.54%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코스닥도 810.61으로 시작해 788.60으로 종가 기록하면서, 9주 연속 양봉을 마치고 -1.72%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위의 내용을 확인해보면, 개인은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서 모두 매수를 보여주었고, 반면에 외국인, 기관 및 금융투자는 매도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향후 박스장 및 하락장의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는 수급형태로, 적극적인 투자보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이어나가야겠습니다.
나. 외국인, 기관 수급현황
코스피와 코스닥 양 시장에서 매도수량이 많았던 만큼,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수급이 주요 종목에 쏠림현상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코스피에서는 미국의 반도체법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삼성전자'와 환율 상승에 취약한 고PER 섹터인 '카카오', 'NAVER' 또한 하락을 면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2차 전지 완성품 쪽은 여전히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2차 전지 소재 및 반도체 국산화의 수혜를 받던 일부 종목들의 매도세가 강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저번 주에 언급드린 것처럼 2차 전지 중 양극재를 제외한 소재(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동박 및 알박 등)는 여전히 수급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제약 바이오도 대장인 셀트리온이 치고 나감으로써 기대해볼 수 있는 위치에 와 있습니다.
제가 2주 전에도 살짝 언급은 했지만, 2차 전지에서 대시세가 나온 종목들은 공매도가 큰 종목들이 많았습니다. 숏커버가 같이 들어오면서 시세를 끌어올렸다는 증권가의 분석이 많습니다.
미국의 FED가 매파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PER주에 속하는 코스닥 상위 종목들이 크게 움직이긴 힘들 것이라 생각되지만, 일부 공매도가 많은 종목 중 코스닥 상위 종목을 한 번 검토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위 사진에서 보면 근래 많은 상승을 이끌었던 2차 전지 양극재 관련주들은 금액은 여전히 크지만, 예전과 대비해서 공매도 비율이 많이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반면에 게임 상위주인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등은 오히려 증가했으며, 2차 전지 전해질 관련주 '솔브레인', '천보', 제약·바이오, 반도체 일부 종목들이 공매도 비율이 올라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3월 10일 기준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졍되어 있는 종목들은 '네이처셀', '코미팜', 'KH바텍', '셀트리온제약', '엘앤씨바이오', '더네이쳐홀딩스', '박셀바이오' 이상 7종목입니다.
2. 차주 주요 일정 및 관련 종목
가. 차주 일정
23.3.13.(월) | 23.3.14.(화) | 23.3.15.(수) | 23.3.16.(목) | 23.3.17.(금) |
- 흑해 곡물수출 협정 재연장 논의 - 포드 전기트럭 F-150라이트닝 생산재개 |
- OPEC 월간 보고서 - EU판 인플레이션 감축법 발표 |
- 인터배터리데이 및 EV 트렌드 코리아 개최(서울 코엑스) | - 인터배터리데이 및 EV 트렌드 코리아 개최(서울 코엑스) - 한일 정상회담 |
- 인터배터리데이 및 EV 트렌드 코리아 개최(서울 코엑스) - OECD 중간경제전망 |
- 한미 연합연습 - 네덜란드 무역사절단 방한 예정 |
- 2월 수출입 물가지수 - 2월 ICT수출입 동향 - 23년 4차 금통위 의사록 공개 |
- 삼성전자 정기주총 - 1월 통화 및 유동성 - 1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 2월 고용동향 |
- 반도체특별법 처리 - 자회사 기습 매각 보도 관련 재공시(에스엠) - 월간 재정동향 - 3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여부 및 발행계획 |
- FTSE지수 정기변경 - 3월 최근 경제 동향 |
- (신규상장) 금양그린파워 - (공모청약) 한화리츠 - (거래재개) 코스나인, IBKS 제17호스팩 - (CB 및 주식전환-추가상장) 레이 - (CB전환-추가상장)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세토피아, HLB테라퓨틱스 |
- (공모청약) 한화리츠 - (BW행사-추가상장) HLB - (주식전환-추가상장) 에스티큐브 - (CB전환-추가상장) 아난티, RF머트리얼즈 - (보호예수 해제) 삼양패키징 |
- (신규상장)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 (상호변경) SNT중공업 → SNT다이내믹스 - (BW행사-추가상장) 파인엠텍, HLB생명과학, 재영솔루텍 - (CB전환-추가상장) JTC, 엠에스오토텍, 이원컴포텍, CJ CGV, 세동, 리노스, 금호전기 - (유증-추가상장) 유테크 - (보호예수 해제) 엔에스엔, IHQ, KH필룩스, 코센 |
- (스팩합병상장) 엑스게이트 - (정리매매) 쎌마테라퓨틱스 - (무증-추가상장) 아모텍 - (유증-추가상장) 벨로프 - (보호예수 해제) 클라우드에어, 화일약품, 제이오, 키다리스튜디오 |
- (신규상장) 유안타스팩12호 - (유증-추가상장) 메디콕스, 에프앤리퍼블릭 - (보호예수 해제)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17일), 핌스(18일), 티이엠씨(19일) |
- (미) 2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 | - (미) 2월 CPI 발표 - (미) 2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
- (미) 2월 PPI 발표 - (미) 2월 소매판매, 1월 기업재고, 3월 NAHB 주택시장지수, 3월 뉴욕주 제조업지수,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주간 원유재고 |
- (미 실적) 페덱스 - (미) 옐런 재무장관 미 상원 증언 - (미) 2월 주택착공, 건축허가, 2월 수출입 물가지수, 3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 (미) 2월 산업생산 발표,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2월 경기선행지수, 3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 (EU) 재무장관회의 - (일) 1분기 대형제조업체 기업경기 실사지수 |
- (영) 1월 실업률 - (중) 2월 외국인 직접 투자 |
- (EU) 1월 산업생산 - (중) 1~2월 소매판매, 1~2월 산업생산, 1~2월 고정자산투자, 2월 실업률, 중기유동성 지원창구 발표 - (일) 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 |
- (EU) 유럽중앙은행 기준금리 결정 - (중) 바이두, AI챗봇 출시, 2월 주택가격지수 발표 - (일) 1월 산업생산, 1월 핵심기계류 수주, 2월 무역수지 |
- (EU) 1월 무역수지, 1월 CPI확정치 - (일) 1월 3차산업지수 |
나. 다음 주 일정 등 예상 이슈
EU, CRMA 발표
- 미국 IRA 발표에 이어 3월 14일에 유럽판 IRA 발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각종 언론에서 보도가 된 바로는 CRMA의 큰 방향은 2가지로 요약됩니다. ① 유럽 내 핵심 광물의 제한적 생한으로 역외에서 우선 수입하되, 수입루트를 다변화하여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 ② 리사이클링을 통해 일정 부분 자체 조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현재까지 분석으로는 미국처럼 핵심 광물의 일정 비율을 맞춰야 보조금을 준다는 형태로 간다면 우리 배터리 3사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면 중국에 유리하고 우리에게 불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직 상대적으로 유럽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이 작기 때문입니다.
- 다만 이미 CRMA 이슈로 관련주들이 많이 오른 상태이기 때문에, 투자는 발표 전날인 월요일 정도까지 고려해시고, 이후로는 보수적으로 접근하셔야 할 것입니다.
- 관련주 : 포스코홀딩스, 성일하이텍(유럽에 공장, 최대 수혜주), 에코프로(추진 중), 새빗켐, 코스모화학 등
* ‘600조원’ 폐배터리 시장 열린다…“경쟁력 선점” 국내 기업은 지금 [황금알 폐배터리] (헤럴드경제 23.3.3.)
* "K배터리, 유럽서 새로운 기회… 재활용 의무화 포함땐 불리" (파이낸셜뉴스 23.3.12.)
2월 CPI, PPI 발표
- 지난 달 CPI 전망치가 6.2%였는데, 6.4%로 상승하면서 증시에 악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번 전망치는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다만 이번 CPI와 PPI는 큰 영향 없이 FED의 금리인상은 25bp수준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어제 있었던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의 영향으로 FED의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 현재 FED WATCH를 확인해보면 어제보다 50bp인상 예상확률이 많이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SVB 파산, '韓 금리·환율' 영향은?…"변동성 확대 우려" (아시아경제 23.3.13.)
SVB 파산, '韓 금리·환율' 영향은?…"변동성 확대 우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여파로 전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우리 금융·외환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은행 유동성 지원책을 내놓는 등
www.asiae.co.kr
바이두 AI 챗봇 출시
- CHAT GPT에 대항할 수 있는 AI 중 하나라 평가받고 있는 바이두의 AI챗봇 '어니봇'이 공개를 앞두고 있습니다. 다만 공개를 얼마 앞두지 않은 시점에서 여전히 답변 관련 오류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공개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공개 성공 여부에 따라서 관련 주가의 움직임이 클수도 있습니다.
- 관련주 : 딥노이드, 링네트, 오픈베이스, 아이크래프트, 와이더플래닛 등
* BoA "챗GPT가 게임체인저…AI 대장株 8곳 담아라" (한국경제 23.3.9.)
* 위기에 빠진 中 AI 챗봇..."출시 5일 남았는데 오류 해결 못해" (ZDNET Korea 23.3.13.)
BoA "챗GPT가 게임체인저…AI 대장株 8곳 담아라"
BoA "챗GPT가 게임체인저…AI 대장株 8곳 담아라", "최후의 승자는 엔비디아 GPU 경쟁자 없어 매출 늘 것" 알파벳 목표주가 125달러 MS·메타·애플·어도비 등 추천 유일한 중국기업 바이두 눈길
www.hankyung.com
위기에 빠진 中 AI 챗봇..."출시 5일 남았는데 오류 해결 못해"
중국 인공지능(AI) 챗봇 '어니봇' 공개가 약 5일 남았지만, 개발팀이 어니봇 답변 오류를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월스트리트저널...
zdnet.co.kr
FTSE 지수 정기 변경
- 글로벌지수 산출기관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가 발표하는 지수로, 리밸런싱이 3월 17일 이후 반영 예정. 아래 종목은 FTSE 소형주 지수 편입 편출 예정 종목입니다.
- 편입 예정(7개) : 코스모화학, 대성홀딩스, 피코그램, 일동제약, 금양, 삼양식품, 더블유씨피
- 편출 예정(8개) : 안트로젠, 벽산, 셀리드, 큐로컴, KH필룩스, 현대리바트, 교보증권, 미래에셋생명
'주식 투자 공부 >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증시 분석(23년 4월 1째주) (2) | 2023.04.09 |
---|---|
주간 증시 분석(23년 3월 3째주) (0) | 2023.03.19 |
주간 증시 분석 (23년 3월 1째주) (0) | 2023.03.05 |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23.3.3.) (0) | 2023.03.04 |
오늘의 주도 섹터 및 테마 분석 (23.3.2.)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