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6

제대로 책 읽는 법 - 메모 독서법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그리고 관련 책을 보면서 가장 많이 읽고 들은 이야기 중 하나는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잘 읽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사실 나는 책을 읽기 위해서 노력한 바 있다. 2006년에 첫 직장을 들어가서 열심히 살아보자며 책을 보기 시작했으나, 책만 3~4권 사고 모든 책을 끝까지 읽은 것 없이 포기했다. 또 2012년 경 지인에게 선물로 받은 책인 라는 책을 읽고 느낀 바가 있어, 다독을 해보겠다고 결심한 적이 있었으나 결국 목표만 거창했고, 실행력이 없어 흐지부지하다 결국 그만두고 말았다. 이후 나는 책이라는 것은 많은 인내를 필요하는 것이라고 자위하면서,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았었다. 이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다시 한번 책을 들었다. 글을 적기 위해 책상 앞에 앉았지만 생각만큼 .. 2022. 11. 15.
드러나는 증시 바닥 신호 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74.65 / -0.34%), KOSDAQ (729.54 / -0.23%) 우리 증시는 초반 상승 기운을 계속 가져가지 못하고, 고점에서 1퍼센트가량 하락하면서, 하락 마감했다. 나스닥 등 미국이나 다른 나라 증시들에 비해 많은 상승을 올라왔던 만큼 적절한 하락이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시장의 바닥 기운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인텔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낸 리포트가 있었음에도 인텔의 주가는 상승을 해주었고, 우리나라도 경기민감주인 화학 섹터가 3분기 실적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주도 섹터라 할 만큼 고른 상승을 보여주었다. 호재가 아닌 악재성 요인에도 불구하고, 눌리지 않고 상승으로 반응한다는 것은 어지간한 악재는 악재라고 생각하지 .. 2022. 11. 15.
고르디우스의 매듭 요약 (건설) 1. 요약 이유 건설분야는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분야다. 서서히 반등하고 있지만 금번 하락장 이전부터 정말 낮은 평가를 받고 있던 종목이 많았고, 원전과 반도체, 친환경에너지 등을 공부하면서, 건설 섹터에도 그런 산업들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충분히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큰 반응이 없는 것이 이상했다. 더구나 이 리포트의 제목은 보는 순간 끌리는 힘이 있었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복잡하고 난해한 매듭인데, 이 매듭을 알렉산더 대왕이 고민 한 번 없이 단칼에 잘라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건설 섹터에 대해 품고 있던 나의 궁금증을 단칼에 해결해 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래서 전문가들 사이에 리포트는 제목이 중요하다고 이야기를 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 리포트의 8page 부터 43p.. 2022. 11. 13.
인생을 변화시키는 글쓰기 - 나는 매일 블로그로 출근한다 1. 책의 선택 이유 누구나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사람의 마음은 똑같겠지만, 내가 블로그를 운영하려고 마음 먹었을 때, 가장 큰 나만의 고민은 어떤 주제로, 어떻게 글을 쓰느냐였다. 유튜브, 블로그 등 다른 자료들은 찾아봤지만, 대답은 거의 한결같았다. '그냥 쓰다 보면 된다'였다. 그래서 그냥 써봤는데, 부끄럽기 이를 때 없었다. 그래서 찾기 시작한 것이 책이다. 이 책 말고도 내 책꽃이에는 아직 5권 이상의 글쓰기 및 독서법에 관한 책이 있다. 시간이 허용되거나, 부족함이 있으면 더 구해서 읽을 생각도 있다. 이 중 블로그에 관해서 읽은 첫 책이 이 책이다. 2. 책의 구성과 주된 관점 이 책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작가 출신이라 그런지 책의 구성에도 짜임새가 있어 보였다. 저자의 의도.. 2022. 11. 12.
증시 반등과 여전한 우려 - CPI의 영향 1. 증시 마감 개요 KOSPI (2483.16 / +3.37%), KOSDAQ (731.22 / +3.31%) 어제 미국의 CPI 발표는 환호를 지르기에 충분했다. 'Bad is good, Good is bad'를 제대로 시현했다. CPI는 컨센서스 8.0에 못 미치는 7.7이 발표되면서, FED의 금리 인상에 압력을 넣기에 충분하다는 의견 속에 미 증시, 특히 나스닥은 7%대의 엄청난 상승을 해주었다. 주식 투자하면서 금리의 무서움을 그동안 모르고 있다가, 이번에 제대로 느꼈는데, 그 금리의 상승이 마무리 되어 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갑기만 하다. 우리 증시도 오늘 장 시작부터 이런 현상을 반응하며 크게 상승했고, 섹터나 특정 주도주 없이 전반적인 상승을 보여주며 시장을 마감했다. 2. 상한가 등 특.. 2022.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