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황 분석
KOSPI (2,280.45 / -2.24%), KOSDAQ (692.37 / -1.68%)
크리스마스 연휴 이후 첫 거래일의 미국 시장은 거래량이 다소 약화된 상태로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가 소폭 오른 반면, 테슬라가 포함되어 있는 나스닥은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마감했다.
오늘 우리 시장은 미국 시장의 영향과 함께 배당차익거래 물량이 대량 쏟아지면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하락 마감했다. 배당차익거래도 매년 있는 이벤트이긴 한데, 이것 또한 우리나라 기관들의 주식 투자 행태를 보여주는 것이어서 씁쓸하다.
오늘 주요 상승 섹터로는 어제 이어서 드론과 중국 리오프닝, 원전 섹터가 강세를 보였으며, 우리나라 제조업의 주 종목이라 할 수 있는 반도체, 2차 전지, 자동차 관련 섹터가 모두 좋지 않은 흐름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내년 초까지도 조금 쉽지 않은 장세가 이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게 되는 하루다.
바이오 종목 일부가 조금씩 움직이는 모습도 포착되는데, 곧 있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가 관련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23.1.9~23.1.12.) * 변경 가능성 있음
- 공식초청 :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에스디바이오센서, LG화학, 한미약품, SK바이오사이언스, 티움바이오
- 비즈니스 미팅 : 유한양행, 종근당, 동아에스티, 에이비엘바이오, 올릭스, 에스씨엠생명과학, 루닛, 바이젠셀, 아리바이오, 엔케이멕스, 유틸릭스, 메드팩토, 강스템바이오텍, 에이비온, 네오이뮨텍, 에스티큐브, 나이벡, JW중외제약, 큐라클, 지놈앤컴퍼니, 크리스탈지노믹스, 비보존제약, 압타바이오 등
2. 상한가 및 특징주 분석
상한가 종목
1). 코콤, 제이씨현시스템 : 드론부대 조기창설 계획 소식 속 드론 방어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상한가
- 관련주 : 퍼스텍, 네온테크, 기산텔레콤, 파이버프로, 노블엠앤비, 스맥, 백금T&A, 베셀, STX 등
2). 에프앤리퍼블릭 : 오는 8일부터 입국 후 시설격리·PCR 검사 폐지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관련주 : 한국화장품, 코스메카코리아, 토니모리, 바이온, 선진뷰티사이언스, 청담글로벌, 연우, 잇츠한불 등
※ 관련 보도 내용
- [단독] 尹, 무인기 보고 받자마자 “우리 드론도 즉각 北 올려 보내라” (조선일보 22.12.26.)
- 코콤, 무인기 탐지·무력화 시스템 개발 완료…北 드론 위협에 수주 기대감↑ (프라임경제 22.12.28.)
- 中, 내달 8일부터 입국 후 시설격리·PCR 검사 폐지(종합 2보) (연합뉴스 22.12.27.)
급등주(15% 이상)
1). 리파인 : 보증보험 중요성 피력 속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서비스 등 영위 사실 부각
2). STX : 국내 최초 '탐지-식별-무력화' 드론 종합 안티드론 체계 구축 부각
3). 에스티큐브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여 관련 기대감으로 추측
4). 세원물산 : 명확한 사유 알 수 없음.
※ 관련 보도 내용
- 국토교통부 장관 원희룡 “전세사기 피해 지원대책 시급히 마련하겠다” (Business Post 22.12.28.)
- [특징주] STX, 국내 최초 '탐지-식별-무력화' 드론 종합 안티드론 체계 구축 부각 (MoneyS 22.12.28.)
- 에스티큐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참여… 기술이전 등 논의 (이데일리 22.12.22.)
거래량 1,000만 주 이상, 거래대금 500억 이상, 5% 이상
1). 비올 : 독보적인 마이크로 니들 기술 보유. 4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 등
2). 신스틸 : 스펙 합병 상장 이후 지속 상승세
3). KPX생명과학 : 중국의 팍스로비드 투입 소식에 급등 (관련주 : 파미셀, 제일파마홀딩스 등)
4). 제주은행 : 인터넷전문은행 전환 부인에도 불구 지속적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 다만, 제주은행이 어떤 식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기대와 금리 인상 기조 지속이 이유가 아닐까 추측.
- 비올 '초미세 바늘' 피부재생… 전 세계가 꽂혔다 (파이낸셜뉴스 22.12.27.)
- 확산세에 놀란 중국, 사망자 급증에 결국 팍스로비드 투입 (MoneyS 22.12.28)
3. 수급 시황 분석
코스피에서는 오늘 8일부터 실시될 예정인 중국 리오프닝 수혜로 '호텔신라' 및 '신세계'에 많은 매수세가 몰렸고, 마찬가지로 원전 가동 및 전기료 인상 정부정책에 따른 효과로 인해 '한국전력'에 매수세가 많이 들어왔다. 반면 리오프닝과 정부 정책 수혜 이외에 대표 기업들에 매도세가 많아졌다.
코스닥에서는 2차 전지 관련주와 바이오 대장주들을 대거 매도하고, 그동안 개인들이 대거 내어놓은 종목들과 리오프닝 관련주를 매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차 전지 관련주들이 코스피나 코스닥에서 대량 매도가 나오고 있어서, 빠른 시일 내에 회복세로 돌아서기는 어렵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외국인 KOSPI
1). 매수 : KT&G - NAVER - 한국전력 - 호텔신라 - 두산에너빌리티 - 카카오 - LG에너지솔루션 - 엔씨소프트 - 크래프톤 - 신세계 - 삼성전기 - SK이노베이션 - 삼천리 - 한화솔루션 - 대한항공
2). 매도 : 삼성전자 - 기아 - 우리금융지주 - 포스코케미칼 - LX인터내셔널 - 기업은행 - F&F - HMM - 셀트리온 - 고려아연 - 율촌화학 - KT - S-Oil - LG화학 - 신한지주
기관 KOSPI
1). 매수 : 한국전력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 호텔신라 - 현대건설기계 - 현대해상 - 신세계 - 하나투어 - 효성티엔씨 - 이마트 - 아모레G - 롯데관광개발 - 현대일렉트릭 - GKL - 한화생명 - 진에어
2). 매도 :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 삼성SDI - SK하이닉스 - 포스코케미칼 - 우리금융지주 - 기아 - KT - 하나금융지주 - 현대차 - LG화학 - 기업은행 - KT&G - 셀트리온 - SK이노베이션
외국인 KOSDAQ
1). 매수 : 스튜디오드래곤 - 어반리튬 - 위메이드 - 대주전자재료 - 아프리카TV - 휴마시스 - 샤페론 - 선광 - 휴젤 - CJ프레시웨이 - 하이로닉 - 씨아이에스 - 피플바이오 - KG ETS - 에스피지
2). 매도 : 엘앤에프 - 에코프로비엠 - 에코프로 - 셀트리온헬스케어 - HLB - 삼천당제약 - 현대바이오 - 천보 - 에스엠 - 바이오니아 - MDS테크 - 나노신소재 - 에치에프알 - HLB생명과학 - 아바코
기관 KOSDAQ
1). 매수 : 원텍 - 대한광통신 - 이루다 - 파라다이스 - 글로벌텍스프리 - 진성티이씨 - 메디톡스 - 비에이치아이 - 애니플러스 - 컴투스 - 윤성에프앤씨 - 성광벤드 - 루닛 - 제이브이엠 - 태광
2). 매도 : 엘앤에프 - 셀트리온헬스케어 - 에코프로비엠 - 에코프로 - 에스엠 - HLB - 알테오젠 - 삼천당제약 - 케어젠 - 하이드로리튬 - 동진쎄미켐 - 천보 - 대주전자재료 - 나노신소재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4. 시간 외 특징주
CBI, CJ씨푸드, 넷마블, 화일약품, 일동홀딩스
1). "대한그린파워, SK에너지와 도심형 연료전지융복합사업 추진” : CBI(+10.00%), 대한그린파워(+4.89%)
2). CJ제일제당과 1,471.9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0.8%) 규모 공급계약 : CJ씨푸드(+9.98%)
3). "제2의 나라" 등 韓 게임 중국 외자 판호 발급 소식
- 관련주 : 넷마블(+9.94%), 넥슨게임즈(+7.91%), 액션스퀘어(+4.89%), 펄어비스(+3.37%), 데브시스터즈(+3.15%), 엠게임(+3.11%), 룽투코리아(+2.89%), 위메이드플레이(+2.33%)
4). 中 감기약 대란 속 주변국 감기약 사재기 현상지속
- 관련주 : 화일약품(+6.43%), 국제약품(+4.18%), 한국유니온제약(+1.58%)
5). 일동제약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국내 도입 계속 추진 : 일동홀딩스(+2.86%), 일동제약(2.50%)
5. 내일 주요 일정
1). 비상경제장관회의 개최, 1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1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2). 변경 상장 : 옵티코어(스팩 합병), UCI(감자), 로스웰(주식병합)
3). 추가 상장(유상 증자) : UCI, 캐스피온, 아이텍, JTC, 스튜디오산타클로스, EV수성
4). 추가 상장(CB 전환) : KX하이텍, 기가레인, 아나패스, HLB테라퓨틱스, CJ CGV, 원텍, 대유에이텍, 바이온, 대원제약
5). 추가 상장(주식 전환) : 디이엔티, 마이크로디지탈, 이노테라피, 큐리언트
6). 추가 상장(BW 행사) : 서울리거, HLB생명과학
7). 거래정지 : 코오롱글로벌(회사분할)
8). 보호예수 해제 : 알피바이오
9). 미국 : 주간 원유재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10). 유로존 : 11월 총통화(M3) 공급
6. 주요 언론보도
- 산업부, 역대급 360조 무역금융 공급… 설비투자에 100조 (뉴시스 22.12.27.)
- [뉴욕증시]'테슬라 충격' 덮친 약세장… 산타랠리 멀어졌다 (이데일리 22.12.27.)
- 신재생 넘어선 원전 비중…文정책 뒤집었다 (한국경제 22.12.27.)
☞ 관련주 :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에너토크, 우리 기술, 지투파워, 한전기술, 오르비텍 등
신재생 넘어선 원전 비중…文정책 뒤집었다
신재생 넘어선 원전 비중…文정책 뒤집었다, 尹정부 전력수급기본계획 2030년 원전 32%·신재생 21%
www.hankyung.com
- [단독] 삼성 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연구조직 신설…'XR 시장' 정조준 (이데일리 22.12.27.)
☞ 관련주 : 나무가, 뉴프렉스, 자이언트스텝, 덱스터, 선익시스템, 코세스, 맥스트, 신화인터텍 등
- 유니콘 눈앞 네이버 크림 "국내는 좁아, 해외로" (한국경제 22.12.27.)
- 美 에너지부 "전기차 배터리의 재활용 더 늘려야" (글로벌이코노믹 22.12.27.)
- 기관 순매수 작년의 반토막… 배당락일 매도폭탄 쏟아지나 (퍼이낸셜뉴스 22.12.27.)
- 한솔케미칼, 바이오소재 진출… 삼바 협력사 바이옥스 품는다 (한국경제 22.12.27)
- 피엔티 "공장 증설로 생산 4배↑…내년 매출 7천억" [강미선의 배터리로드] (한국경제TV 22.12.27.)
- 다누리, 달 궤도 진입 성공… 한국 세계 7번째 달 탐사국 (한국경제 22.12.28.)
- 실탄 챙긴 빅파마… 바이오 'M&A 훈풍' 분다 (한국경제 22.12.27.)
☞ 관련주 : 레고켐바이오(암젠 기술 이전), 카나리아바이오(헬릭스미스), 크리스탈지노믹스(팬젠), LG화학
- 美 IT해고자 79% 3개월 내 재취업… 대량 해고 무색 (헤럴드경제 22.12.28.)
- 5년간 25조 투입 … 양자기술·차세대 원전 등 ‘민관합동 R&D’ (문화일보 22.12.28.)
- 임상검사 대행하는 현지 랩 인수…韓 진단업계, 美 본토 공략 가속 (한국경제 22.12.27.)
☞ 랩지노믹스 '클리아랩' 인수, 싸이토젠, 엔젠바이오
- “자율車 한대에 2000개 필요”… 빙하기 반도체에 희망이 (매일경제 22.12.27.)
- '애플 글라스' 쟁탈전 본격 점화… 삼성 vs 소니, '마이크로OLED' 수주 노린다 (디지털데일리 22.12.27.)
- "5G 주파수 잡아라"… 통신 3사, 눈치싸움 2차전 (ZDNET KOREA 22.12.27.)
- [단독] 아파트·공장 옥상에 '풍력발전기'… 비싼 전기 직접 만든다 (NEWS1 22.12.28.)
- 2일 뒤 공개되는 송혜교의 '더 글로리'… 벌써부터 반응이 심상치 않다 (위키엔터 22.12.28.) : 스튜디오드래곤 제작
- 하프늄 전구체 춘추전국시대 열릴까? 내년 2월 특허심판에 쏠린 눈 (THEELEC 22.12.28.)
- 美 내년 헬스케어 예산 600억 달러 상회… 전년比 67억 달러↑ (ZDNET KOREA 22.12.28.)
- [단독] 삼성·두산·GS, 뉴스케일파워 손잡고 英 원전시장 동반 진출 (THE GURU 22.12.28.)
'주식 투자 공부 >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증시 및 특징주 분석(23.1.2.) (0) | 2023.01.02 |
---|---|
오늘 증시 및 특징주 분석(22.12.29.) (0) | 2022.12.29 |
오늘 증시 및 특징주 분석(22.12.27.) (0) | 2022.12.27 |
오늘 증시 및 특징주 분석 (22.12.26.) (0) | 2022.12.26 |
오늘 증시 및 특징주 분석(22.12.23.) (0) | 2022.12.23 |
댓글